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는 부자가 되고 있을까? 부자 지수와 자산 지수를 계산해 보자!

by AI investor 2022. 7. 2.
반응형

출퇴근 길에 유튜브를 틀어 놓았는데 알고리즘이 인도한 김작가TV에 나온 아기곰님 방송분에서 부자 지수, 자산 지수라는 개념을 접했습니다.
https://youtu.be/0DZqzVZaVFg

부자 지수는 어떻게 계산하나?


부자 지수는 '이웃집 백만장자'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인데 현재의 순자산을 나이와 1년 총소득의 곱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2012758257

난 부자가 될 수 있을까? '부자 지수' 계산법

난 부자가 될 수 있을까? '부자 지수' 계산법, 경제

www.hankyung.com

부자 지수 = 순자산 * 10 / (나이 * 1년 총소득) * 100 %

수식이 복잡해 보이지면 정리를 해보면

부자 지수 = 순자산 / (나이 * 1년 총소득 / 10) * 100 %

이 됩니다. 소득의 1/10에 나이를 곱한 것보다 순자산이 얼마나 많은가를 계산했다고 보면 됩니다.

수식이 복잡해 보이는 분들은 아래 링크의 부자계산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cal.happyrich.co.kr/

부자계산기

부자지수, 대출이자계산기, 적금계산기, 예금계산기, 연봉계산기, 경제적자유, 복리, 원금2배, 종잣돈, 투자비율, 은퇴자금,비만도

cal.happyrich.co.kr

부자 지수가 100보다 클수록 부자가 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부자계산기를 이용해 계산해 본 제 점수는 276%입니다. 생각보다 높아서 잠시 즐거웠는데 부자지수의 맹점 떄문에 높게 점수가 높게 나왔습니다. 순자산이 적어도 연간수입이 적으면 점수가 높게 나오는 맹점이 있네요! 최근 몇년간의 소득을 평균내는 방식으로 계산하면 조금 더 정확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자산 지수는 어떻게 계산하나?

아기곰님은 부자 지수는 고용이 유연한 미국의 경우에 적합한 지수이고, 나이가 들수록 수입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고 노동시장에서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우리나라 실정에는 자산 지수가 더 적합한 지표라고 합니다. 자산 지수는 총 순자산을 평생 동안 번 소득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자산 지수 = 순자산 / 평생 소득 * 100


평생 내가 얼마나 벌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위에서 소개한 유튜브에서는 국세청에 물어보면 알 수 있다고 나오는데 집에서도 홈택스로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홈택스에서 민원증명-소득금액증명을 선택하시고 조회하고 싶은 시작 연도부터 작년까지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올해 소득은 바로 반영이 안 되는 단점이 있지만 사회 초년생이거나 연봉이 아주 많은 분들을 제외하면 작년까지의 소득으로 하나 올해 소득까지 포함하나 비슷한 결과가 나올겁니다!

계산을 해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여태까지 번 돈이 다 어디로 간거야?!

자산지수를 계산해 보니 저는 평생 소득의 66%를 순자산으로 모았습니다.
딱히 투자로 큰 성공을 얻은 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꽤 괜찮은 수치일까요?
아니면 재테크에 게을렀다는 방증일까요?

부자 지수를 계산하고 잠시 뿌듯했던 마음이 차갑게 가라 앉았습니다.

오늘부터 열심히 투자 공부를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